2024/11 3

안랩, 스크러빙 센터 연계 '하이브리드형 디도스 방어 서비스' 내놓는다

최근 친러 핵티비스트 집단이 한국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 등 다수의 국내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분산 서비스 거부(DDoS) 공격을 진행하는 등 디도스 공격으로 인한 피해가 꾸준히 이어지는 가운데 안랩이 다양한 디도스에 대해 폭넓은 대응을 제공하는 디도스 방어 서비스를 새롭게 출시한다.서비스는 안랩의 디도스 대응 솔루션 '안랩 DPX'와 클라우드플레어가 제공하는 글로벌 규모의 스크러빙 센터, 안랩의 자체 보안관제(SOC) 전문 조직을 연계한 '하이브리드형' 디도스 방어를 지원한다. 트래픽 규모 및 공격 방식에 제한 없이 피해가 발생하기 전 단계에서 선제적 방어를 제공할 수 있다.안랩이 선보이는 디도스 방어 서비스는 트래픽 규모에 따라 단계적 대응을 제공해 기업 서비스 영향을 최소화한다. 먼저 '일상적·저용량 ..

보안뉴스 2024.11.26

SKT ' 양자암호원칩', 국정원 보안 인증 획득

SK텔레콤이 케이씨에스와 공동개발해 상용화한 '양자암호원칩(QKEV7)'이 국가정보원 암호모듈검증(KCMVP)을 통과했다.'양자암호원칩'은 양자난수생성기 칩과 암호통신기능 칩 등 2개 칩이 하나로 합쳐진 보안칩이다. 양자난수생성기가 적용된 보안칩이 국정원의 보안 검증을 통과한 것은 국내 최초다. KCMVP는 국가,공공기관을 위한 정보보호시스템에 탑재되는 암호모듈은 반드시 KCMVP인증을 받아야 한다. 이번 양자암호원칩은 양자 기반 암호키 생성기술과 함께 물리적 복제방지 기술(PUF)등이 적용됐으며 초경량, 저전력이 장점이다. 이번 인증은 국정원 KCMVP 보안수준 2등급으로, 국정원에서 암호모듈을 대상으로 부여한 인증가운데 현재까지 가장 높은 등급이다. SKT는 국정원 보안검증 통과가 국방 등 국가, 공..

보안뉴스 2024.11.20

삼성전자가 AI에 보안을 강조하는 이유

삼성전자가 심혈을 기울이는 AI에 보안을 강조하고 나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이제는 모든 가전에 AI기능이 추가되고, 인터넷 연결로 보안이 더욱 중요해졌기 때문이다.삼성전자는 지난 9월5일(현지시간) 독일에서 개최된 가전 전시회 'IFA 2024'에서 '모두를 위한 AI(AI for All)' 비전을 제시한 바 있다.삼성전자 구주 총괄 최고마케팅책임자 벤자민 브라운은 "삼성은 AI기술이 사람을 돕는 '보이지 않는 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개방형 스마트싱스 생태계와 삼성 AI기술로 세계를 선도하고, AI가 서로 연결되도록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그러면서 이날 선보인 2024년형 삼성AI TV에 대해 삼성전자는 "최대 7년간 타이젠 OS업그레이드를 지원하겠다"고 밝히며 "삼성 녹스(Knox)를 ..

보안뉴스 2024.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