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 4

딥마인드, ETRI와 양자암호통신 기반 국방 전투 드론 개발

딥마인드플랫폼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양자내성암호를 지원하는 eSIM(내장형 가입자 식별 모듈) 기반 보안 기술을 전투 드론 통신에 적용하기 위한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1월16일 밝혔다. 딥마인드 관계자는 "이번 기술 이전 계약으로 고도의 보안이 요구되는 전투 드론은 eSIM 기반 양자내성암호를 탑재해 중요 데이터를 단대단(End-to-End)으로 안전하게 전송하고 보호해 효과적인 운용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양자암호 통신 기술은 기존의 암호화 방식보다 한층 더 높은 수준의 보안을 제공하는 기술로,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의 해킹이나 정보 탈취를 원천적으로 차단한다.특히 양자암호 기술이 접목된 통신 모듈은 드론의 지휘·제어 시스템과 데이터 링크를 안전하게 보호해 적군의 해킹 시도나 ..

보안뉴스 2025.02.12

"양자과학기술, 실용성에만 투자 안타까워... 본질 탐구 선행돼야"

양자컴퓨터를 중심으로 양자과학기술이 세계적 관심을 끄는 가운데 최근 양자 분야에서 실용성 위주로만 투자되고 있다는 학계의 우려가 나왔다. 응용에 앞서 기초과학에 꾸준한 지원과 투자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이어졌다.윤진희 한국물리학회장은 5일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세계 양자과학기술의 해(IYQ) 한국 선포식'에서 "양자과학기술은 본질적인 탐구가 선행돼야 응용이 이뤄지는 것"이라며 "요즘 너무 실용성 위주로만 투자되는 부분이 안타깝다"고 밝혔다.윤 학회장은 "트랜지스터와 레이저는 20세기 최고의 발명품으로 꼽히지만 그 근간을 이룬 양자물리학도 최고의 발견 아닌가 생각한다"며 "양자 분야에서 물질의 근본 성질을 파헤치는 물리학자의 역할이 크다"고 강조했다.이어 "기초과학은 응용을 생각하고 연구하는 것..

보안뉴스 2025.02.12

'딥시크' 금지령, 일파만파... 민관 총망라 급속확산 조짐

챗GPT 등 여타 생성형 AI 접속은 가능외교·국방 등 기밀취급 부처 전날 차단, 교육 · 노동 · 행안 '사용 유의' 신중모드 환경부와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경찰청 등이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논란을 빚어온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의 접속을 전면 차단하고 나섰다. 딥시크 금지령이 정부와 공공기관 등에 이어 금융권 등 민간 부문까지 급속 확산되는 모양새다.   이 같은 접속 차단 조치는 앞서 행정안전부와 국가정보원이 중앙행정기관과 지자체 등에 ‘딥시크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달라’는 공문을 보낸 뒤로 외교·국방·산업부 등 안보·경제부처를 넘어 사회부처까지 확산하는 모양새다.6일 정부 관계부처에 따르면 환경부는 이날 오전 9시부터 인터넷에 연결된 PC에서 딥시크를 접속할 수 없..

보안뉴스 2025.02.10

삼성 갤럭시S25, 양자내성암호 기술 탑재...보안 강화

삼성전자는 양자내성암호(PQC) 기능을 갤럭시S25 시리즈에 처음으로 탑재했다고 5일 밝혔다.양자내성암호는 미래의 양자 컴퓨터가 기존 암호화 방식을 무력화할 가능성에 대비해 더욱 강력한 보안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삼성전자는 양자 컴퓨터의 실용화가 당장 이루어지지는 않더라도, '선 수집, 후 해독(Harvest Now, Decrypt Later)' 방식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 양자내성암호 기술을 선제 도입했다.삼성전자는 양자 컴퓨터 시대에도 암호화된 데이터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양자내성암호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에서 권장하는 표준을 준수, 양자 컴퓨터 공격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암호화 기술을 개발 중이다. 예를 들어, ML-KEM 알고리즘은 복잡한 ..

보안뉴스 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