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 5

PlushDaemon, 한국 IPany VPN 표적삼다

PlushDaemon은 최소 2019년부터 활동해 온 중국과 연계된 APT 그룹으로 주로 중국, 대만, 홍콩, 한국, 미국, 뉴질랜드의 개인 및 기관을 대상으로 사이버 스파이 활동을 수행하여 왔습니다. 2023년, PlushDaemon은 한국의 VPN 소프트웨어 IPany의 설치 프로그램을 악성코드로 교체하는 공급망 공격을 수행하였습니다. 사용자가 공식 웹사이트에서 VPN을 다운로드하는 과정에서 감염되었으며 설치 프로그램 내부의 악성코드가 실행되었습니다. 이 악성 설치 프로그램은 정상적인 VPN과 함께 SlowStepper 백도어를 설치 하여 공격자가 피해자의 시스템에 원격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 공격으로 한국의 반도체 기업 및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에서 감염 사례가 확인되었으며 일본과 중국에서..

보안뉴스 2025.03.18

세종벤처기업협회, 페루 국립공대 ITS-SCI와 스마트시티 기술 협력 MOU 체결

2025년 3월 5일, 페루 국립공과대학교 산하 ITS-SCI와 스마트시티 및 스마트팩토리 기술 협력 MOU 체결공동 연구 및 기술 개발, 교육 프로그램 공동 운영, 스타트업 및 기업 간 협력 강화 등 추진 예정국제 공동 프로젝트 추진 및 연구 인력 교류를 통한 양국 간 기술 및 산업 발전 도모  세종벤처기업협회(Sejong Venture Business Association, 이하 SVBA)는 2025년 3월 5일, 페루 국립공과대학교(Universidad Nacional de Ingeniería, 이하 UNI) 산하 지능형 교통 시스템 및 스마트시티 연구소(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and Smart City Institute, 이하 ITS-SCI)와 스마트시티 및 ..

"1000큐비트 양자컴 개발... 2035년 양장 경제 선도국 도약" 양자전략위 출범

정부가 1000큐비트 양자컴퓨터 등 하드웨어와 양자 소프트웨어·알고리즘 개발, 퀀텀 파운드리 및 테스트베드 구축에 7000억원 규모를 투자해 '2035년 양자 경제 선도국 도약'에 나선다.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2일 대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양자전략위원회 출범식 및 제1차 회의를 주재하고 '퀀텀 이니셔티브 추진 전략'을 발표했다. 전략의 핵심은 △전략적 연구개발(R&D)과 인재 양성을 통한 핵심 역량 확보 △기초·원천 연구를 넘어 양자 산업화 기반 마련 △글로벌 협력과 기술 안보 확보 등이다.최 권한대행은 “범부처 차원의 양자과학기술 역량을 결집해 전략적 R&D·인력양성을 통해 핵심 역량을 확보하고, 인프라 확충·스타트업 육성 등 양자산업화 기반 확장, 글로벌 협력과 국가..

보안뉴스 2025.03.12

'2025 드론쇼 코리아' 성황리에 마쳐... 항공, 우주, 모빌리티 혁신 테크 전시회로 발돋움

육·해·공군은 미래전장 주도할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선보이고 업계도 첨단드론 기술·제품 소개 지난 26일부터 28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2025 드론쇼 코리아’(이하 DSK)가 성황리에 진행되었다. 2016년 산업부와 부산시 공동 주최로 시작돼 아시아 최대 드론 전시회로 성장한 DSK는 드론을 중심으로 뉴스페이스, 미래모빌리티, 넷제로, AI 등 연관 분야로 전시를 확대하면서 항공·우주·모빌리티 혁신 테크 전시회로 발돋움하고 있다. 이번 행사에는 국방부(육·해·공군), 국토부, 우주항공청 등 관계부처와 부산, 경남, 전남 등 17개 지자체 그리고 대한항공, 한국항공우주산업(KAI), LIG넥스원, 풍산, SK텔레콤, 네스엔텍, 니어스랩, 파블로항공, 유콘시스템, 코리아디펜스인더스트리 등 국내 기업이 참..

보안뉴스 2025.03.07

전쟁 판도 바꾸는 AI드론... "정부, 종합투자계획 수립해야"

전쟁 판도를 바꾸는 무기로 '인공지능(AI) 드론'이 부상함에 따라, 정부가 종합투자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국회예산정책처는 최근 'AI 무기체계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AI 자폭 드론을 비롯한 AI 무기체계들이 전쟁의 양상을 변화시키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보고서를 작성한 안태훈 예산분석실 사회행정사업평가과 분석관은 “AI 드론은 AI 기술이 탑재된 무인 항공기로, 자율 비행, 데이터 분석, 의사결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며 “이러한 AI 무기체계 발전은 군사 기술 경쟁과 군비 확장을 가속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이어 “세계적으로 무인기는 AI를 적용한 군집자율비행, 유·무인협업 기술로 발전하는 추세”라며 미국, 중국 등 해외 주요국의 AI ..

보안뉴스 2025.03.07